시유작업 무궁화 문양이 입체적으로 구성되어 초벌과정을 지난 이중 투각 기물이다. 칠보문으로 투각을 하여 겹치는 부분에 백상감으로 점을 찍어 장식한 기물로, 투각 구멍이 매우 작기 때문에 유약을 시유 할 때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그물문으로 구성된 기물로, 얇은 투각부분은 담금시유 할 때에 충분히 유약을 머금지 못하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 과정으로 보충해 준다. 무궁화 문양을 연결해 주는 연결고리 부분을 꼼꼼히 잘 살피며 흙보푸라기를 투각칼로 떨어낸다. 초벌 전의 면밀한 확인작업으로 대부분의 큰 흙보푸라기는 처리되었지만, 초벌 후 다시 한번의 흙보푸라기 처리는 필수이다. 사진과 같은 가녀린 투각문양의 경우는 초벌 전의 흙보푸라기 처리 작업은 문양파º’의 위험성이 있어, 초벌이 끝나고 흙보푸라기 처리 작업을 더욱 더 꼼꼼히 한다. 흙보푸라기 처리 작업이 끝난 기물은 공기 압축기로 바람을 불어 먼지와 이물질을 떨어낸다. 압축기로 인한 강한 바람을 주의하면서 작업한다. 칠보문의 기물은 투각 구멍이 매우 작기 때문에 기물의 흡수력을 낮추어 유약의 과시유를 방지한다. 분무기로 투각부분에 물을 뿌리면 기물은 수분을 머금고, 흡수력은 약화된다. 청자유약의 비중은 보메 비중계를 이용하여 49~50으로 맞춘다. 1차 시유의 유약두께 목표는 0.2~0.3mm이다. 일반 청자기물의 비중은 보메 비중계 55~56 정도로 하고, 유약의 두께를 0.3~0.5mm로 맞춘다. 침전된 유약을 혼합기로 잘 섞는다. 기물의 전과 굽부분을 양º’으로 잡고 안쪽 면과 바깥쪽 면을 동시에 시유하기 위해 옆으로 눕혀 유약 속으로 반 정도만 잠기도록 하여 돌려가며 시유한다. 시유시간은 8초를 목표로 하여 시유하고, 기물 안에 있는 유약이 잘 흘러 나오도록 입구를 기울이며 기물을 유약에서 꺼낸다. 굽부분을 한번 더 살짝 유약에 담그어 목표치의 유약 두께를 맞춘다. 옆으로 기물을 눕히고 반이 유약에 잠긴 상태로 조심스럽게 기물을 회전시키며 시유한다. 잠긴 유약의 수위를 유지하여 기물의 시유 상태를 확인하며 진행한다. 입구가 좁은 기물도 안쪽까지 유약이 들어가 시유될 수 있도록 주의한다. º’목을 이용하여 재빠르게 기물을 돌려가며 시유한다. 시유가 진행되는 동안 기물은 수분을 흡수하여 중량이 늘어나고, 연약해지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다루어야 한다. 전 부분처럼 약한 곳은 신경을 써서 부러지지 않도록 가볍게 잡는다. 유약으로부터 기물을 꺼낼 때는 입구 쪽으로 기울여 가며 작업하고, 유약 밖에서 기물을 거꾸로 하여 상하로 흔들어 여분의 유약을 떨구어낸다. 담금시유가 끝난 투각기물은 보통보다 묽게 한 유약(보메 50)임에도 불구하고 극히 작은 투각구멍은 유약으로 막힐 수 밖에 없다. 유약이 마르기 전에 입바람으로 가볍게 불어 막힌 구멍을 처리한다. 대부분의 투각구멍은 묽은 유약과 시유전 수분공급처리로 인해 막히지 않고 시유가 완료된다. 유약의 2차 시유 과정을 위해 건조실에 1차 시유를 마친 기물을 넣어 건조시킨다. 한 시간 정도의 건조 과정 후, 기물을 건조실로부터 내어 유약으로 막힌 투각 구명을 투각칼로 조심스럽게 긁어준다. 표면의 유약이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하며 구멍을 지름 2mm 이상 내어준다. 전과 굽 부분에는 손으로 잡은 부분이 유약이 입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유약을 붓으로 덧입혀 준다. 충분히 2~3겹으로 유약을 발라주고, 마른 후에는 두께를 맞추기 위해 볼록한 부분을 조심스럽게 성형칼로 긁어준다. 보메 50의 묽은 유약은 담금시유를 하기에는 부적절하다. 이상적인 유약의 두께를 기물에 입히기가 어렵기 때문이다.그러므로 분무기에 유약(보메 49)을 넣어 뿌려주면서 0.3~0.5mm의 유약 두께를 맞춘다. (2차 시유과정) 성형칼로 투각부분의 유약을 살짝 긁어 유약의 두께를 확인한 후, 유약두께 0.3~0.5mm를 목표로 분무기 작업을 반복한다. 분무기로 뿌려지는 유약이 작업장을 더렵히지 않도록 주위를 플라스틱 시트로 감쌓아 청소를 용이하도록 한다. 전과 같은 부분은 기물두께가 얇기 때문에 유약 시유가 부족할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한번 더 붓으로 유약을 발라준다. 분무기 시유와 같은 효율적인 작업을 하기 전에는 모든 투각구멍을 붓으로 유약을 발라주었다.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분무기 시유가 작업의 효율성과 결과의 만족을 가져다 주었다. 청자 작품의 청자색은 유약의 두께에 따라 좌우한다. 청자 유약 성분의 철분 함유량과 시유 유약두께가 그 색감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한번 더 꼼꼼히 모든 부분을 살피며 필요한 부분에 붓으로 유약을 추가로 발라준다.